<들어가기 전에>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전근대 중국과 한국 - 필요에 따라서는 일본도 포함 - 의 사상 관계 문헌들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과 관련 문헌, 특히 그 가운데에서도 원전이 되는 유경 및 제자백가서의 독서, 그리고 독서법(?)을 틈틈히 정리해 보려고 한다. 내가 어떤 사유의 변화를 거쳐서 이러한 '사상서'들을 독해했는지에 대해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덧붙여 나와 마찬가지로 전근대 동아시아의 사상을 공부하려는 이들에게 조금의 참고 사례로서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큰 계획을 갖고 시작한 것이 아니다보니 특별한 범례는 정해 놓은 것이 없고, 우선 아래의 간단한 틀 만을 정하였다.


  1. 다루고 있는 서적은 사서/오경/제자/기타의 4가지로 분류한다.

  2. 일종의 학습법이라 할 수 있는 '독서법'에 관련된 내용은 '서적분류+총설'의 틀을 붙여서 범주화하고 그 뒤에 글의 내용에 따라 간명하게 정리된 소제목을 쓴다.

  3. 그 외에 세부 내용에 대한 글은 '서적분류+독서'의 틀을 적용하여 소제목을 쓴다.


  사서총설 (1) 『논어』 읽기


  동양학에 있어서 『논어』라는 서물은 제법 대중적인 책이다. 그만큼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해석서가 나왔고, 한국어 번역본 또한 80여종이 출간, 판매중이다.[각주:1] 그렇기에 사상서, 특히 유가 철학 원전에 있어서 『논어』는 기본과 같이 인식되어 왔다. 굳이 사상사 연구자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한문독법을 익히려는 사람들이라면 『논어』는 『맹자』와 함께 반드시 읽고 넘어가는 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위치에 있는 것이다.


  그래서 더욱 '전문적으로' 파고들기 어려운 것이 『논어』라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현재 판매되고 있는 80여종의 『논어』 번역서 가운데 상당수가 교양서적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선진문헌이나 선진시대 유가철학 전공자의 '연구번역'이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물론 후유(候儒)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논어』 속 공자의 발언은 아주 비근(卑近)한 말들로 이루어져 있고, 형태 상 잠언집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러한 문헌들은 결코 단순한 상황에서 저술되지도 않았고, 또 결코 단순한 상황에서 '구현'[각주:2]되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후대에 최소한 『논어』를 전문적으로 독해하려는 - 사실 『논어』만 그런 것은 아니다. - 이들에게 있어서 나름의 이해의 틀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논어』는 어떤 과정을 통해서 이해의 틀을 수립해야 하는 것일까?


  일반적으로는 주석을 통해서 『논어』라는 서물을 이해하는 하나의 지표로 삼곤 한다. 특히 주희(朱熹)의 『집주』(集註)는 현재 한문교육기관이나 개인 서실에서 진행되는 『논어』 강독에서도 기본 교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나 역시 이러한 과정을 추천한다. 물론 내가 동일한 과정을 통해 공부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집주』라는 주석이 『논어』를 일관적으로 해석하려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사전에 가까운 성격이 짙은 『집해』(集解)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목요연한 논리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논어』라는 서물을 하나의 틀로 이해하는데 있어서 『집주』는 대단히 효율적이다.[각주:3]


  문제는 다음이다. 이 틀을 기반으로 어떤 경로를 통하는 것이 『논어』 이해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일까? 철학적으로는 다른 주석을 참조하는 것을 추천하는 듯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공자의 전기와 그 시대를 포괄하는 역사를 통해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물론 공자의 전기 조차도 『논어』에 의존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공자 개인의 생애와 그가 살았던 시기를 기준으로 『논어』를 분절해서 이해해 보자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러한 이해는 『논어』를 제외한 다른 문헌에 나타나는 공자의 언설과 연결시킬 수 있는 여지를 준다는 점에서 이롭다. 기본적으로 경전 주석이 이경해경(以經解經, 경전을 가지고 경을 해석한다.), 혹은 이전해경(以傳解經, 경에 대한 해설이라는 전을 가지고 경을 해석한다.)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을 생각할 때, '공자의 언설'을 확장하는 행위는 기본적으로 다른 주석가들이 어떤 방식으로 『논어』 속 언설을 이해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과정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개인적으로는 이 과정을 거쳐서 다른 주석을 접하는 것이 그 주석을 이해하는 것 뿐 아니라 해당 주석을 통해 구현된 『논어』의 상을 살펴보는 것에도 보다 용이하리라 생각된다.


  개인적으로 2018년 5월 현재, 『논어』의 독해에 있어서 다음의 보조 자료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1. 전근대 주석 : 『논어집주대전』(비지 포함) / 『논어주소』

  2. 현대 주석 및 번역 : 『논어역주』 (양백준), 『집 잃은 개』(리링)

  3. 역사 기록 : 『사기』 및 춘추시대 연구서 다수.

  4. 한국어 번역본 : 『논어한글역주』(김용옥, 통나무), 『세주완역 논어집주대전』(김동인 외, 이인서원), 『논어주소』(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1. https://blog.naver.com/forevermf/221208104291 [본문으로]
  2. 나는 기본적으로 후대의 경전 및 제자서에 대한 주석작업을 주석이 이루어지는 당대에 대한 '구현'으로 파악한다.그것은 일종의 사회사상으로 출발한 동아시아 - 정확히는 중국 - 전근대 사상에 있어서 숙명과도 같은 것이리라. 따라서 이러한 저술들은 저술 자체의 시대적 배경, 그리고 주석의 시대적 배경을 서로 공명시켜가며 읽을 필요가 있다. 어떠한 주석의 내용을 액면 그대로 적용하거나, 본문의 내용을 글자 그대로만 이해하려 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물론 주석이나 본문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헤 어떠한 해석이 합리적인지에 대한 판단 정도는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본문으로]
  3. 물론 문헌학적인 한계, 사상적인 한계는 분명 존재한다. [본문으로]
Posted by 蝟郞
,